PT 직업탐구 Q & A Interview 2 <OS 의원 물리치료사> 1 ~ 7 전체 답변


김 수 현
물리치료사 님을 모시고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
- 보건복지부 물리치료사 면허
- 현 의원 물리치료사 근무 중(도수치료)
- KAS 대한연부조직도수치료학회 이수
-대한로봇물리치료학회
로봇 물리치료사 Cerificate
-MFR_한국근막이완치료학회
basic course 수료
-M.E.T Musculoskeletal Evidence
based Treatment 수료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_KAOMPT수료

질문 목차
1. 의원 물리치료사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2. 신졸이 루틴 매뉴얼 하다가 도수로 올라가는 경우 몇 개월 ~ 몇 년 소요되나요?
3. 저년차에 의원 물리치료사가 듣기 좋은 교육이 있다면?
4. 첫 직장으로 의원에서 어떤 것을 배우고 공부할 수 있는지?
5. 처음, 매뉴얼 관련하여 아무것도 모를 때 한 방법
6. 요즘 도수치료 시장이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요?
7. 의원 물리치료사의 연봉은 대략 어느정도 ? (인센제도인지도)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로 3년 차인 물리치료사 김수현이라고 합니다.
현재 의원에서 도수치료와 물리치료를 하며 근무하고 있습니다.
1. 의원 물리치료사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준 종합급 병원이랑 비교해 보자면 의원은 근무시간이 길지만 그만큼 급여가 높고,
규모가 큰 준 종합급 병원보다 들어가기 수월합니다.
그리고 물리치료 위주로 병원이 돌아가는 만큼
본인의 실력이 잘 갖추어져 있다면
그만큼 대우를 받을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준종합병원에선 수술 환자, 즉 급성기이신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의원은 만성기 환자분들,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다 오신 분들이 대다수이기에
치료의 틀이 잘 정해지지 않아 도수치료를 처음 하시는 분들은 막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리하자면 워라벨과 수술 환자분들 케어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준 종합급 병원으로,
높은 급여와 다양한 케이스 환자분들을 접하고 싶은 분들은 의원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저 또한 의원에서 도수치료하는 치료사로서
처음에는 정말 막연하고 어렵지만, 자신이 노력하는 만큼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도수치료에 대해 깊게 공부할 수 있으며 그만큼 나 자신의 치료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곳이라 생각합니다.
선생님들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근무조건이 다 틀리지만,
도수치료로 욕심이 있으신 선생님들께는 의원을 살포시 추천드려 봅니다.
2. 신졸이 루틴 매뉴얼 하다가 도수로 올라가는 경우 몇 개월 ~ 몇 년 소요되나요?
사실 이것도 개인 역량, 병원의 상태에 따라서 정해지는 것 같아요.
결국엔 본인이 최소 30분부터 시작하는 치료시간을 채울 수 있으며,
치료 실력도 어느 정도 잡혀 있다면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는 2달 정도 하다가 팔로업을 받아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딱 얼마나 걸린다는 게 아니라 ‘시작할 준비‘가 되어있다면
들어가는 것이니 본인의 능력과 열정에 따라 빨리 들어갈 수 있고,
오히려 늦게 들어갈 수도 있겠죠?
그러니 도수치료분야에 취업을 했더라도, 계속 공부하며
치료시간 30분을 어떻게 채울 것인지에 대하여 연구하고 열정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3. 저년차에 의원 물리치료사가 듣기 좋은 교육이 있다면?
저는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기능해부학과 임상운동학에 대해 탄탄히 알아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경근학회, MFR 등 먼저 "근육에 대해서 접근"할 수 있는 교육을 이수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 후에 본인이 부족하다고 생각이 되는 부분,
더 공부해보고 싶은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해서 맞는 교육을 들으시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신입 때 KAS 연부조직파트가
가장 저랑 잘 맞았습니다.
하지만 교육도 선생님들마다 견해가 천지차이이기 때문에
인트로랑 교육내용을 잘 보고 정하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교육을 들은 뒤 배웠던 내용을 얼마나 자기의 것으로 만들고
가져갈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기에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했던 기본적인 내용은 틈틈이 자습을 통해 미리 숙지하시고,
교육을 들으신 후 복습 예습 반복하시어 본인만의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4. 첫 직장으로 의원에서 어떤 것을 배우고 공부할 수 있는지
가장 먼저 한 생각은 ’ 똑같은 경우는 없구나 ‘였던 것 같아요.
의원을 내원해 주시는 분들은 일상생활에서 아파서 오신 분들이 대다수라
아픈 부위도 틀릴뿐더러 나이와 성별부터 생활습관, 체형, 자세 등 같은 사람이 없기 때문에
통증이 일어나는 이유가 굉장히 광범위해집니다.
그만큼 공부해야 할 양도 많고요. 어떻게 보면 스무고개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이렇게 수많은 CASE를 접하고 각각 다른 TEST, 치료를 시행하면서
환자를 바라보는 시야와 치료 역량을 많이 높일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라포 형성과 어떤 식으로 환자분들은 케어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자연스레 쌓을 수 있었습니다:)
5. 처음, 매뉴얼 관련하여 아무것도 모를 때 한 방법
초반에는 대부분 근무하는 의원에서 매뉴얼에 대해서 교육을 받고 들어가지만
교육을 받을 때와 직접 할 때랑은 너무 틀리고 힘이 듭니다.
심지어 저는 체형이 마른 편이어서 힘을 적절히 쓸 수 있으면서
환자분들은 만족할 수 있는 매뉴얼 방법에 대해서 많이 고민했었습니다.
기능 해부학을 통해 내가 CONTACT 할 근육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근무 시작 전, 점심시간, 퇴근 후 같은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서
환자 역할해 주실 분 섭외해 놓고 계속 연습했습니다.
사진이나 영상을 찍어놓고 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잠자기 직전까지 이론 공부를 했습니다.
실습과 이론 둘 다 필수로 챙겨가야지 후에 도수치료에 투입될 때
치료계획과 라포형성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전 이론공부를 할 때, ’그 부위를 왜 치료하는가?‘란 큰 틀을 잡고 공부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어려운 점은 따로 필기해 놓고 제가 만족할 만한 답이 나올 때까지 공부하였습니다.
이렇게 계속 반복하니 나의 매뉴얼 스타일도 가질 수 있었고,
이론적인 내용도 많이 알아갈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6. 요즘 도수치료 시장이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요?
예전보다는 확실히 수요가 적어진 건 안타깝지만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이제는 점점 정말 실력 있는 치료사만 남게 되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시장이 어떤 상태인지 걱정하기보단
내가 어떤 식으로 나의 치료적 가치를 쌓아야 하는가를 궁리해 보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7. 의원 물리치료사의 연봉은 대략 어느 정도? (인센제도인지도 궁금합니다)
매뉴얼이 있는 병원은 대부분 기본급이 높기 때문에 3000초~에서 시작하는 것 같아요.
매뉴얼이 없다면 기본급은 당연히 낮아지고요.
여기서 도수치료와 충격파는 인센티브제이기 때문에 자신의 역량에 따라서 급여 차이가 많이 납니다.
매뉴얼 병원에서 도수치료와 충격파도 들어가신다면 대부분 3천 중후반대~4천 대까지 받아 가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그 이상도 가능합니다. 본인의 능력에 따라 급여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해진 한계는 없는 것 같아요:)
이것이 OS의원의 가장 큰 장점이자, 매출 스트레스로도 다가올 수 있는 단점이기도 합니다.
* 김 수 현 물리치료사님의 주관적인 견해임으로, 다른물리치료사들과의 견해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유의 바랍니다.
* 의원 물리치료사 외 궁금하신 직업군이 있으시다면 @pt.seul 로 DM 보내주시면 컨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물리치료사를 위한 리뷰, 피티리뷰 &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는, 물리치료사 예슬쌤
감사합니다.
'PT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PT 직업탐구 Q & A Interview 4 <해외[아랍권] 물리치료사> 1 ~ 7 전체 답변 (0) | 2024.05.03 |
---|---|
PT 직업탐구 Q & A Interview 3 <NS 병원 물리치료사> 1 ~ 7 전체 답변 (0) | 2024.03.30 |
PT 직업탐구 Q & A Interview 1 <국가대표 의무트레이너> 1 ~ 10 전체답변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