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 물리치료사 예슬쌤입니다.
오늘은 NS gait contact시 보조기가 필요한 환자분들 컨택을 좀 더 수월히 할 수 있도록
각 보조기에 대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신경계 물리치료에서 보행 보조기의 역할
신경계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보행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물리치료사들은 다양한 보행 보조기를 활용하여 환자의 자립성을 향상시키고, 안전하게 걸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보행 보조기는 균형 유지, 체중 지지, 보행 패턴 개선 등을 목표로 합니다.
이제 각 보조기의 특징과 장점을 자세히 알아볼까요?
Q 케인 (Q Cane)
Q 케인은 특히 한쪽 다리의 기능이 제한적인 환자들에게 적합한 보행 보조 도구입니다.
이 보조기는 경량의 금속이나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사용자의 몸무게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줍니다.
Q 케인의 핸들은 손에 쉽게 잡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해도 손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미끄럼 방지 팁은 안정성을 높여주며, 조정 가능한 높이 기능은 사용자의 키에 맞게 맞춤 설정할 수 있습니다.
Q 케인은 주로 한 손으로 사용하는 단일 지지 보조기입니다.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한쪽 다리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2점 보행 방식에 적합합니다.
이 보행 방식은 한쪽 다리와 반대편에 위치한 케인을 동시에 움직이는 패턴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 다리가 약한 경우, 왼손에 Q 케인을 들고, 오른쪽 다리를 내딛을 때 케인을 지면에 내려놓아 지지합니다.
Q케인 위치조절
- 기본 자세: 환자는 평평한 지면에 똑바로 섭니다.
- 팔 자세: 팔을 몸 옆에 자연스럽게 내려놓습니다.
- 높이 조절: 큐케인의 손잡이가 환자의 손목 주름과 일직선이 되도록 높이를 조절합니다.
- 사용 자세: 큐케인을 사용할 때 팔꿈치는 약 15도에서 30도 정도 구부린 상태가 되도록 합니다.
모노 케인 (Mono Cane)
모노 케인은 보다 경미한 보행 지원이 필요한 환자들을 위해 설계된 또 다른 유형의 케인입니다.
이 케인은 뛰어난 이동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며, 주로 균형 유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가벼운 무게와 간편한 조작성으로, 사용자가 실내외를 자유롭게 다닐 수 있도록 돕습니다.
모노 케인 역시 조정 가능한 높이가 가능하며,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맞출 수 있습니다.
모노 케인 역시 2점 보행에 사용됩니다. 이 보조기는 경미한 균형 문제가 있거나 약간의 보행 지원이 필요한 경우 사용되며, 보행 중 체중 분산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모노 케인은 주로 노화나 경미한 손상 후 회복 단계에서 사용되는데, 사용자가 더 자신감을 가지고 걸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Q케인, 모노케인 보행 순서: 지팡이 - 마비 측 - 건강한 측
- 지팡이를 건강한 측 반대편 손에 듭니다.
- 지팡이를 앞으로 내딛습니다.
- 마비된 측의 다리를 지팡이 쪽으로 이동시킵니다.
- 건강한 측의 다리를 마지막으로 전진시킵니다.
모노케인 위치조절
- 기본 자세: 환자는 평평한 지면에 똑바로 섭니다.
- 팔 자세: 팔을 몸 옆에 자연스럽게 내려놓습니다.
- 높이 조절: 모노케인의 손잡이가 환자의 손목 주름과 일직선이 되도록 높이를 조절합니다.
- 사용 자세: 모노케인을 사용할 때 팔꿈치는 약 15도에서 30도 정도 구부린 상태가 되도록 합니다.
하이워커 (Hi-Walker)
하이워커는 상체 지지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이상적인 보행 보조기입니다.
이 기기는 보행 중 상체를 안정시켜 주고, 더 많은 체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이워커는 특히 하반신 마비나 심한 근력 약화를 겪는 환자들에게 적합합니다.
조절 가능한 손잡이와 팔걸이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조정될 수 있으며, 넓은 베이스는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하이워커는 4점 보행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높은 수준의 지지력을 제공합니다. 이는 특히 하반신 마비나 중증 근력 약화가 있는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하이워커는 사용자가 체중을 더 많이 기대면서도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줍니다. 4점 보행은 네 개의 접점이 번갈아 가며 지면에 닿으며, 극도의 안정성과 지지를 제공합니다.
보행 순서: 하이워커 - 마비 측 - 건강한 측
하이워커는 두 손으로 지지대를 잡고 사용합니다.
- 하이워커를 앞으로 옮깁니다.
- 마비된 측의 다리를 하이워커 쪽으로 이동시킵니다.
- 건강한 측의 다리를 마지막으로 전진시킵니다.
하이워커 높이 조절
- 기본 자세: 환자는 평평한 지면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합니다.
- 팔 자세: 팔을 몸 옆에 자연스럽게 내려놓습니다.
- 높이 조절: 하이워커의 손잡이가 환자의 손목 주름과 일직선이 되도록 높이를 조절합니다.
워커 (Walker)
표준 워커는 네 개의 다리가 있는 프레임으로, 심한 보행 불안정을 겪는 환자들에게 권장됩니다.
워커는 사용자가 전체 체중을 기기에 의존할 수 있게 해주며, 보행 시 안정성과 독립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일부 모델에는 바퀴가 달려 있어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접이식 기능은 수납과 이동 시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표준 워커는 주로 3점 보행 또는 4점 보행에 사용됩니다. 이는 사용자가 더 많은 지지가 필요할 때 사용되며, 특히 수술 후 회복이나 중증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3점 보행은 워커를 한 번에 한 쪽으로 움직인 후, 두 다리를 번갈아 움직이는 패턴을 포함합니다. 4점 보행은 더 천천히 진행되며,
각 다리와 워커의 두 다리가 교차하여 움직이는 패턴입니다.
보행 순서: 워커 - 마비 측 - 건강한 측 워커 역시 두 손으로 지지대를 잡고 사용합니다.
- 워커를 앞으로 옮깁니다.
- 마비된 측의 다리를 워커 쪽으로 이동시킵니다.
- 건강한 측의 다리를 마지막으로 전진시킵니다.
워커 위치조절
- 기본 자세: 환자는 평평한 지면에 똑바로 섭니다.
- 팔 자세: 팔을 몸 옆에 자연스럽게 내려놓습니다.
- 높이 조절: 워커의 손잡이가 환자의 손목 주름과 일직선이 되도록 높이를 조절합니다.
- 사용 자세: 워커를 사용할 때 팔꿈치는 약 15도에서 30도 정도 구부린 상태가 되도록 합니다.
각 보조기의 보행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치료사가 환자의 gait를 위하여 최적의 도구를 선택하는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물리치료사 예슬쌤입니다
감사합니다!
'PT 필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NS PT 필수정독] 환자와 병원 밖 보행 훈련하는 이유 / 환경이 미치는 영향 장단점 총 정리 (0) | 2024.05.30 |
---|---|
[NS PT 필수정독] 환자에게 계단을 훈련하는 이유 / 계단이 미치는 영향과 사용되는 근육 총 정리 (0) | 2024.05.25 |
[OS PT,실습생 필수정독] OS에서 주로 쓰는 의학용어 모음 (0) | 2024.04.29 |
[NS PT,실습생 필수정독] NS에서 주로 쓰는 의학용어 모음 (0) | 2024.04.27 |
[PT필독] 모르면 손해 / 임상에서 쓰는 치료기술 P노트 작성방법 & 양식Mat & gait & NDT 상 하지, 몸통 (프로필 링크 양식구매) (4)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