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예슬쌤입니다.
오늘은 ns pt들이 왜 임상에서 계단보행을 훈련하는지,
계단보행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계단보행시 사용되는 근육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계단보행 훈련의 이유
물리치료사가 뇌졸중, 뇌경색, 사지마비, 반신마비 환자에게 계단보행을 시키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 5가지 주요 이유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근력 강화
- 설명: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은 다리와 엉덩이 근육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특히 중력에 반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근육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근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임상적 연관성: 근력 강화는 환자가 일상생활을 보다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심혈관 기능 개선
- 설명: 계단보행은 유산소 운동의 일종으로,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전반적인 체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임상적 연관성: 전반적인 체력 향상은 회복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피로를 덜 느끼게 합니다.
- 균형 및 안정성 향상
- 설명: 계단을 오르내리면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고, 체중을 한쪽 다리로 지탱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넘어짐 방지 및 일상생활에서의 안정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임상적 연관성: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보행 패턴 개선
- 설명: 계단보행은 환자가 다양한 보행 패턴을 연습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특히 뇌졸중이나 반신마비 환자의 경우, 계단을 오르내리면서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을 회복하고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임상적 연관성: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교정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일상 생활 활동 복귀
- 설명: 계단을 오르내리는 능력은 많은 일상 활동에서 필요합니다. 따라서 계단보행 연습을 통해 환자는 일상 생활에서의 독립성을 높이고, 주거 환경에서의 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임상적 연관성: 환자가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계단을 오를 수 있게 되어, 생활의 질이 향상됩니다.
계단보행 훈련의 장단점
장점
- 전신 근력 강화
- 장점: 다리 근육뿐만 아니라 코어와 상체 근육도 강화됩니다. 특히 허벅지, 종아리, 엉덩이 근육이 많이 사용됩니다.
- 임상적 연관성: 근력 강화는 환자가 일상생활을 보다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심혈관 기능 개선
- 장점: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심혈관계를 자극하여 전반적인 체력을 증진시킵니다.
- 임상적 연관성: 전반적인 체력 향상은 회복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피로를 덜 느끼게 합니다.
- 균형 및 안정성 향상
- 장점: 다양한 평형 감각을 자극하여 균형 감각을 개선합니다. 이는 낙상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임상적 연관성: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보행 패턴 개선
- 장점: 규칙적인 계단보행은 보행 패턴을 개선하고, 다리와 발의 협응력을 높여줍니다.
- 임상적 연관성: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교정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일상 생활 활동 복귀
- 장점: 실제 생활에서 필요한 기능적 활동을 연습함으로써 환자가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킵니다.
- 임상적 연관성: 환자가 가정이나 공공장소에서 계단을 오를 수 있게 되어, 생활의 질이 향상됩니다.
단점
- 안전성 문제
- 단점: 균형 감각이 떨어지거나 다리 힘이 약한 환자에게는 낙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 임상적 연관성: 치료사는 보호 장비를 사용하거나 보호하면서 훈련을 진행해야 합니다.
- 과부하 위험
- 단점: 너무 강도 높은 계단보행은 근육 피로와 관절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임상적 연관성: 환자의 현재 체력과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강도로 운동을 조절해야 합니다.
- 심혈관 부담
- 단점: 심혈관계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어,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임상적 연관성: 심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는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 후 진행해야 합니다.
- 정서적 부담
- 단점: 초기에는 두려움이나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낙상 경험이 있는 환자라면 더 그렇습니다.
- 임상적 연관성: 심리적 지원과 적절한 격려가 필요합니다.
- 환경적 제약
- 단점: 병원이나 치료 시설에 적절한 계단 시설이 없는 경우 훈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임상적 연관성: 이러한 경우, 가정에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야 합니다.
계단 오르기와 내리기 시 강화되는 근육
계단 오르기
- 대퇴사두근 (Quadriceps)
- 위치: 허벅지 앞쪽
- 역할: 무릎을 펴는 동작을 도와줍니다.
- 활용: 계단을 오를 때 다리를 펴면서 몸을 위로 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둔근 (Gluteal muscles)
- 위치: 엉덩이
- 역할: 엉덩이를 펴는 동작을 돕고, 다리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 활용: 계단을 오를 때 엉덩이를 들어올리며 체중을 지탱합니다.
- 햄스트링 (Hamstrings)
- 위치: 허벅지 뒤쪽
- 역할: 무릎을 굽히고 엉덩이를 펴는 동작을 도와줍니다.
- 활용: 계단을 오를 때 무릎을 굽히고 다리를 들어올리는 데 기여합니다.
- 장요근 (Iliopsoas)
- 위치: 골반과 허리
- 역할: 다리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돕습니다.
- 활용: 계단을 오를 때 다리를 들어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종아리 근육 (Calf muscles - Gastrocnemius and Soleus)
- 위치: 종아리 뒤쪽
- 역할: 발목을 펴는 동작을 도와줍니다.
- 활용: 발을 밀어내면서 계단을 오를 때 사용됩니다.
계단 내리기
- 대퇴사두근 (Quadriceps)
- 위치: 허벅지 앞쪽
- 역할: 무릎을 구부리면서 체중을 지탱합니다.
- 활용: 계단을 내려올 때 무릎을 구부리면서 천천히 내려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둔근 (Gluteal muscles)
- 위치: 엉덩이
- 역할: 엉덩이를 안정화하고, 몸을 지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활용: 계단을 내려올 때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데 기여합니다.
- 햄스트링 (Hamstrings)
- 위치: 허벅지 뒤쪽
- 역할: 무릎을 굽히고 엉덩이를 안정화합니다.
- 활용: 계단을 내려올 때 무릎을 굽히고 몸을 지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종아리 근육 (Calf muscles - Gastrocnemius and Soleus)
- 위치: 종아리 뒤쪽
- 역할: 발목을 안정화하고 천천히 내려오게 합니다.
- 활용: 발을 내려놓으면서 계단을 내려올 때 사용됩니다.
- 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 위치: 정강이 앞쪽
- 역할: 발목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도와줍니다.
- 활용: 계단을 내려올 때 발을 들어올려 착지할 때 안정적으로 내려올 수 있게 합니다.
결론
계단보행 훈련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각 환자의 상태와 능력에 맞추어 조절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환자에게 적절한 보호 장비와 지도를 제공하여 안전하게 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근력 강화, 심혈관 기능 개선, 균형 및 안정성 향상, 보행 패턴 개선, 일상 생활 활동 복귀 등의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물리치료사 예슬쌤입니다. 감사합니다
'PT 필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T 필수 정독] 열린 사슬 운동 vs 닫힌 사슬 운동 차이점 및 장단점 한눈에 알아보기 (0) | 2024.06.14 |
---|---|
[NS PT 필수정독] 환자와 병원 밖 보행 훈련하는 이유 / 환경이 미치는 영향 장단점 총 정리 (0) | 2024.05.30 |
[NS PT 필독] Gait contact시 사용되는 보조기, 하이워커, 워커, Q cane, mono cane 사용 상세 가이드 (0) | 2024.05.17 |
[OS PT,실습생 필수정독] OS에서 주로 쓰는 의학용어 모음 (0) | 2024.04.29 |
[NS PT,실습생 필수정독] NS에서 주로 쓰는 의학용어 모음 (0) | 2024.04.27 |